HAM 여행

안녕하세요?

Hermes로 원격교신하기 2탄 입니다.

 

1탄의 장점은 같은 로컬 네트워크상에서 데이터를 전송받아 처리하고

처리한 결과만 원격으로 전송하므로 트래픽에 부하와 안정성이 있다는 점이고

단점으로는 컴퓨터(저는 라즈베리파이를 사용)를 2대가 필요 하다는 점입니다.

 

2탄의 장점은 1탄의 단점인 컴퓨터가 1대만 있으면 된다는 점이고,

단점으로는 1탄의 장점이 단점입니다.

Hermes에서 데이터를 원격으로 받아 원격에서 처리하여야 하므로

네트워크 트래픽이 증가 한다는 점입니다.

물론 어느정도의 정확한 수치는 측정해보지 않아 알수 없으나

이론상 그렇다는 것 입니다.

넓은 밴드폭 전체의 데이터를 가져와야 하기 때문일거라고 생각 합니다.

(제가 잘못 알고 있을수도 있습니다.)

 

2탄의 구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구성은 간단하나 수작업이 조금 있습니다.

[1]. 공유기에 DDNS와 DMZ을 설정합니다.

      DDNS와 DMZ에 대한 것은 별도로 설명하지 않겠습니다.

      인터넷을 검색해보시면 많은 글들이 올라와 있습니다.

      (설정과 설명이 자세히 나와 있습니다.)

[2]. Hermes가 사용하는 IP(사설IP/공유기IP)를 DMZ IP 로 설정합니다.

[3]. 원격PC에 Hermes 를 사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SparkSDR 같은 것)을 설치 합니다.

[4]. 원격PC에서 [3]에서 설치한 프로그램을 실행 합니다.

      실행한 프로그램에서 IP를 입력할 때 [1]에서 만든 DDNS의 IP를 입력합니다.

      (시작 IP와 종료 IP를 동일하게)

      IP를 확인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으나 윈도우 명령 프롬프트에서

      PING을 하면 IP가 나옵니다.

      DDNS가 abc.iptime.org(ipTIME 공유기인 경우)라면 ping abc.iptime.org 을

      합니다.

      (예 : SparkSDR에서는 시작 IP와 종료(끝) IP를 동일하게 입력합니다.)

 

여기까지 오류없이 하면 정상적으로 동작 합니다.

프로그램 사용법은 사용하는 프로그램의 설명서를 참고 하십시요.

그리고 DDNS의 단점은 DDNS의 IP가 변경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사용중에 접속이 안되면 DDNS를 PING 하면 변경된 IP를 알수 있습니다.

만약 변경되었다면 [4]에서 시작 IP와 종료 IP를 변경하면 됩니다.

 

조금이라도 편리하게 교신할수 있는 방법을 나름대로 기술 했습니다.

부족한 글을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de HL1RR/LIM 73 !

 

DDNS란 Dynamic Domain Name System 의 줄임말로

IP 숫자를 전부 기억하기가 어려워 기억하기 쉬운 문자열

주소로 변경해 주는것을 DNS(DDNS)라고 합니다.

ipTIME 공유기에서 DDNS를 무료로 제공 합니다.

먼저 ipTIME 관리자 페이지로 접속하기 위하여

웹 브라우저에서 192.168.0.1(보통 ipTIME 공유기)

를 입력하고 로그인 합니다.

로그인이 되었으면 관리도구를 클릭 합니다.

고급설정 > 특수기능 > DDNS 설정 메뉴를 클릭 합니다.

DDNS 설정 화면이 나오면 호스트이름을 입력 합니다.

호스트 이름은 앞자리만 입력합니다.

즉 abc라고 입력하면 자동으로 abc.iptime.org 란 도메인 이름(호스트이름)이 됩니다.

사용자ID 는 사용하고 있는 e-mail 주소를 입력하고 DDNS 등록 버튼을 클릭하면 됩니다.

정상 등록이 되면 호스트 이름에 입력한 (예 : abc.iptime.org)주소가 표시되고 접속상태에

"정상 등록"이라고 표시 됩니다.

여기까지 오류가 없으면 DDNS가 정상적으로 등록 되었습니다.

 

다음은 DMZ 설정 입니다.

고급메뉴 > NAT/라우터 관리 > 고급 NAT 설정을 클릭 합니다.

DMZ 을 클릭하고 "내부 IP주소"에 사용 할 내부 IP를 입력후 "적용"버튼을 클릭 합니다.

이상으로 ipTIME 공유기에 DDNS와 DMZ을 설정 했습니다.

DMZ은 각각의 내부 IP 마다 방화벽이 설정 되어 있는경우에

(공유기에 따라 설정 안되어 있는 경우도 있음)

DMZ으로 설정한 IP는 방화벽을 무시하라는 것 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