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AM 여행

DMR, YSF(C4FM), DSTAR, WIRES-X 어느것을 사용해도 서로 교신을 할수

있는 것이 크로스 교신(구성) 입니다.

크로스 구성을 참고하여 즐거운 교신이 되시길 바랍니다.

1. XLX171-D <---> TG843

2. XLX171-D <---> 843IPSC2(YSF)

3. XLX171-D <---> WIRES-X(ROOM 24082)

4. TG843 <---> WIRES-X(ROOM 24082)

5. 843IPSC2(YSF) <---> WIRES-X(ROOM 24082)

6. TG843 <---> 843IPSC2(YSF)

7. FM(144.800Mhz) <---> TG843

8. FM(144.800Mhz) <---> 843IPSC2(YSF)

9. FM(144.800Mhz) <---> WIRES-X(ROOM 24082)

10. FM(144.800Mhz) <---> XLX171-D

'DMR+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DMR+(PLUS) IPSC2-KOREA pi-star 설정하기  (0) 2019.03.30
D-STAR / DMR 크로스 모드 교신  (0) 2019.03.11
D-STAR DMR CROSS MODE  (0) 2018.12.29
DMR WW 교신에 대하여  (0) 2018.11.27
DMR+ IPSC2-KOREA TG45004 TG45021 TG45022 ADD  (0) 2018.11.17

안녕하십니까?

pi-star 에서 DMR+ IPSC2-KOREA 설정방법 입니다.

[1] pi-star 화면에서 Configuration 을 클릭합니다

[2] Configuration 을 클릭하면 다음 화면이 나옵니다.

여기서 Expert 를 클릭 합니다.

[3] Expert 를 클릭하면 다음 화면이 나옵니다.

여기서 MMDVMHost를 클릭합니다.

[4] MMDVMHost를 클릭하면 다음 화면이 나옵니다.

여기서 Address 란에 IPSC2-KOREA IP를 입력합니다.

IP 는 210.178.113.50 입니다.

IP를 입력한후 Apply Changes 를 클릭하여 적용해주면 설정이 완료 됩니다.

 

[추가] 위 화면 [4]와 같이 하지 않고 Address 란에 IPSC2-KOREA 도메인을 넣으면 더욱

좋습니다. 도메인은 ipsc.dvham.com 입니다. 도메인을 입력한후 Apply Changes 를

클릭하여 적용해주면 설정이 완료 됩니다

 

 

 

감사합니다.

즐거운 DMR+ 통신을 하시길 바랍니다.

 

de HL1RR/LIM 73!!

 

 

Booking.com

 

글로벌스피드 https://smartstore.naver.com/globalspeed

 

안녕하십니까?

DMR 또는 D-STAR 교신시 같은 모드에서만 교신이 가능합니다.

이런 특성 때문에 전세계적으로 크로스 모드 교신이 추세 입니다.

 

IPSC2-KOREA 에서는 DMR, D-STAR 상호간 크로스 모드 교신이 가능하도록 하였습니다.

크로스 모드 교신 가능한 것은 다음과 같습니다.

 

XLX170 C 또는 XRF170 C 와 TG576 간 크로스 모드 교신을 할 수 있습니다.

 

XLX171 D 또는 XRF171 D 와 TG1004 간 크로스 모드 교신을 할 수 있습니다.

 

XLX950 E 와 TG579 간 크로스 모드 교신을 할 수 있습니다.

 

모쪼록 즐거운 교신을 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글로벌스피드 https://smartstore.naver.com/globalspeed

O D-STAR, DMR CROSS MODE

 

 

de HL1RR 73 !

 

글로벌스피드 https://smartstore.naver.com/globalspeed

안녕하십니까?

DMR 교신시에 대한 여러 이야기가 있어 몇자 적습니다.

DMR 교신시 외국국을 보면 TG를 옮겨 교신하자는 것을 저는 보지 못햇습니다.

유독 우리나라만 그런지는 모르겠습니다.

특히 DMR+ 에서는 더더욱 그렇습니다.

특히 DMR WW TG에서교신도 마찬가지라고 생각 합니다.

WW TG에서 한국사람끼리 교신하는것은 당연하다고 생각 합니다.

예를 들어 미국사람끼리는 교신을 잘하고 있는데

한국사람끼리 교신은 WW TG라는것 때문에 TG를 옮기는것은 넌센스라고 생각 합니다.

한국은 지구상의 국가가 아닌가요?

당연히 한국도 WW 의 한 국가 입니다.

TG 를 옮기는것은 본인의 취향 입니다.

그러나  TG를 옮겨 교신하는것이 교신수칙은  아니라고 생각 합니다.

외국의 TG를 많이 수신하였으나 TG를 옮기는것이 교신수칙 이라는것은

듣지 못했습니다.

모쪼록 DMR+ 만이라고 TG를 옮겨 교신하는 일이 없기를 바랍니다.

굳이 TG를 옮겨 교신하는것은 쌍방간의 약속(?) 이지 절대로 교신수칙은 아닙니다.

그리고 DMR+ 에서는 아주 많은 TG가 있어 사용에 불편이 없습니다.


DMR TG 교신에 대한 개인적인 의견을 몇자 적었습니다.

모쪼록 즐거운 교신이 되시길 바랍니다.


de HL1RR  73 !!

Booking.com

'DMR+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D-STAR / DMR 크로스 모드 교신  (0) 2019.03.11
D-STAR DMR CROSS MODE  (0) 2018.12.29
DMR+ IPSC2-KOREA TG45004 TG45021 TG45022 ADD  (0) 2018.11.17
DMR PLUS(IPSC2)와 BM은 무엇인가?  (0) 2018.11.02
DMR PLUS 서버 및 연결 현황  (0) 2018.11.01

Added DMR + IPSC2-KOREA TG45004, TG45021, and TG45022.

You can also use the TG45004, TG45021, and TG45022 in DMR +.

You can use the existing code plugs as they are (no need to create new codeplugs).

 

To do so, select "DMR + _IPSC2-KOREA" and click "Apply Changes" as shown below.




 

de HL1RR / LIM 73 !!

 

Booking.com

'DMR+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D-STAR DMR CROSS MODE  (0) 2018.12.29
DMR WW 교신에 대하여  (0) 2018.11.27
DMR PLUS(IPSC2)와 BM은 무엇인가?  (0) 2018.11.02
DMR PLUS 서버 및 연결 현황  (0) 2018.11.01
IPSC2-KOREA WW TGs  (0) 2018.11.01

DMR PLUS(IPSC2)와 BM과는 별도 입니다.

현존하는 DMR서버는 크게 두가지가 있습니다.

BM 그리고 DMR PLUS(IPSC2) 입니다.
두가지의 차이점은 없습니다.

다만 BM는 수평적개념(병렬적개념) 즉 전세계 어느 BM서버를 사용해도된다는 점입니다.

즉 한국 사람이 꼭 KR-4501에만 접속해야 한국 TG45004, TG45022 등등...사용할수 있고 한국사람과 교신을 할수 있는것은 아닙니다.

미국서버에 접속해도 한국과 교신이 됩니다.

접속자수가 적은 서버를 사용하는것도 하나의 팁이 될수 있습니다.

그리고 BM에서는 5자리 이상의 TG를 사용하고 있으나 DMR PLUS(IPSC2)는 4자리미만의 TG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유는 너무 길면 사람들이 기억하는데 불편하다는 이야기가 있어 그렇습니다. DMR PLUS 도 5자리 이상의 TG를 사용할수 있습니다.
그리고 무전기 및 핫스팟 등 기존에 사용하는것을 그대로 사용하면 됩니다. 쉽게 생각해서 DMR 서버만 바뀌는것 입니다. 그리고 DMR PLUS(IPSC2)는 계층구조, 쉽게 이야기해서 직렬방식 입니다. 물론 이해를 돕기위해 직렬방식이라고 했지만 여러분이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표현한 것이고 계층구조가 맞습니다

DMR PLUS(IPSC2)를 이용하고하 하면 BM서버에서 DMR PLUS(IPSC2)서버로 접속하면 됩니다. 변하는것은 아무 것도 없습니다.물론 코드플럭은 추가해야 되겠지요.DMR PLUS(IPSC2)는 유럽과 미주쪽에서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고 있습니다. BM에서 사용하는 TG45004하고는 별개 입니다.


http://dmrplus.dvham.com/?page_id=12&uid=48&mod=document&pageid=1
http://dmrplus.dvham.com/
http://ipsc.dvham.com/ipsc/
이곳을 참고 하시면 아마도 쉽게 이해가 되실것 입니다.
감사합니다.


de HL1RR 73!!

Booking.com

'DMR+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DMR WW 교신에 대하여  (0) 2018.11.27
DMR+ IPSC2-KOREA TG45004 TG45021 TG45022 ADD  (0) 2018.11.17
DMR PLUS 서버 및 연결 현황  (0) 2018.11.01
IPSC2-KOREA WW TGs  (0) 2018.11.01
DMR PLUS IPSC2-KOREA INSERT TG  (0) 2018.11.01

안녕하십니까?

DMR 서버는 기존 DMR+ 서버에서 발전하여 IPSC2 서버로 변천 하였습니다.

아시다 시피 DMR 은 모토로라에서 사용하던 통신방식으로 아주 좋은 통신 기술입니다.

IPSC2 는 모토로라 통신방식을 준수하고 있습니다.

기존 BM(BrandMeister) 에 익숙한 여러분은 처음에는 조금 생소할수 있습니다.

IPSC2는 쉽게 설명하면 로칼(국내)과 원격(해외)으로 구분되어 통신을 할수 있도록 되어 있습니다.

즉 로칼은 국내에서만 사용하는 것으로 TG또한 국내에서만 상호 교신할수 있습니다.

당연히 원격은 국내와 해외를 구분하지 않고 교신을 할수 있습니다.

여기서 국내라는 정의는 IPSC2-KOREA 서버에 접속한 사람들이 IPSC2-KOREA 서버내에서만 교신을 하는것을 의미 합니다.

미국사람이 IPSC2-KOREA에 접속하면 IPSC2-KOREA 서버 입장에서는 국내가 되는것 입니다.

원격은 전세계 IPSC2 서버에 접속한 사람끼리 IPSC2 서버에 상관하지 않고 교신하는것을 말합니다.

BM과 같은 방식이라고 보면 됩니다.

BM은 한국에서 전세계 어느 서버에 연결해도 한국과 교신이 되는 방식 입니다.

IPSC2 원격과 같은 개념입니다.

IPSC2가 로컬과원격으로 구분한것은 좀더 나은 통신품질을 위하여 한것입니다.


IPSC2 서버는 전세계에 현재 52개가 있습니다.

IPSC2-KOREA 서버는 현재 전세계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TG 를 연결하여 지구촌 어느곳과도 DMR 교신이 됩니다.

물론 로칼(국내, 한국) 전용 TG도 많이 있어 여러분이 사용하는데 지장이 없도록 했습니다.


DMR과 D-STAR, DMR 과 C4FM(YSF)과도 연결되어 있어 통신방식에 상관없이 DV통신을 즐길수 있습니다.

좀더 편하게 그리고 좀더 나은 통신을 즐기시길 바랍니다.


IPSC2-KOREA 데시보드는 http://ipsc.dvham.com/ipsc/

에서 보실수 있습니다.


de HL1RR/LIM 73 !1

Booking.com

'DMR+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DMR+ IPSC2-KOREA TG45004 TG45021 TG45022 ADD  (0) 2018.11.17
DMR PLUS(IPSC2)와 BM은 무엇인가?  (0) 2018.11.02
IPSC2-KOREA WW TGs  (0) 2018.11.01
DMR PLUS IPSC2-KOREA INSERT TG  (0) 2018.11.01
DMR PLUS DMR 통신  (0) 2018.10.30

IPSC2-KOREA WW TGs

 

TG TS 설명
1 TS1 유럽지역과 크로스
2 TS1 유럽지역과 크로스
11 TS1 유럽지역과 크로스
13 TS1 유럽지역과 크로스
45 TS1 유럽지역과 크로스
91 TS1 유럽지역과 크로스
110 TS1 유럽지역과 크로스
130 TS1 유럽지역과 크로스
131 TS1 유럽지역과 크로스
133 TS1 유럽지역과 크로스
202 TS1 유럽지역과 크로스
208 TS1 유럽지역과 크로스
214 TS1 유럽지역과 크로스
222 TS1 유럽지역과 크로스
228 TS1 유럽지역과 크로스
230 TS1 유럽지역과 크로스
232 TS1 유럽지역과 크로스
235 TS1 유럽지역과 크로스
238 TS1 유럽지역과 크로스
270 TS1 유럽지역과 크로스
302 TS1 유럽지역과 크로스
310 TS2 국내사용
334 TS1 유럽지역과 크로스
450 TS2 Reflector 4570
505 TS2 Reflector 4800(Austrelia)
571 TS2 Reflector 4571
572 TS2 Reflector 4572
573 TS2 Reflector 4573
574 TS2 Reflector 4574
575 TS2 Reflector 4575
576 TS2 Reflector 4576
577 TS2 Reflector 4577, YSF(1004DMR) 크로스
578 TS2 Reflector 4578
579 TS2 Reflector 4579
870 TS1 Reflector(4605) Minnesota
871 TS2 Reflector 4502(Skywarn & WX)
872 TS1 Reflector 4600(Florida)
873 TS1 Reflector 4601(Georgia_
874 TS2 Reflector 4648(USA Great Lakes)
875 TS2 Reflector 4639(USA Nation Wide)
876 TS2 Reflector 4649(USA Tristate IL)
877 TS1 Reflector 4634(Colordo)
878 TS2 Reflector 4515(USA Handi HAMS)
881 TS2 Reflector 4900(TG881 to JAPAN)
888 TS2 국내 CW 전용
889 TS2 국내 CW 전용
890 TS2 국내사용
901 TS1 Reflector 4551(DMR-MARC WWW)
902 TS1 Reflector 4552(DMR-MARC EU)
1004 TS2 XLX171D D-STAR 크로스
2230 TS2 국내사용
3100 TS2 BM 3100 크로스
3101 TS1 BM 3101 크로스
3126 TS1 BM 3126 크로스
3127 TS1 BM 3127 크로스
3133 TS1 BM 3133 크로스
51800 TS2 광주 모임
51801 TS2 광주 모임

 

de HL1RR 73/LIM !

Booking.com

'DMR+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DMR PLUS(IPSC2)와 BM은 무엇인가?  (0) 2018.11.02
DMR PLUS 서버 및 연결 현황  (0) 2018.11.01
DMR PLUS IPSC2-KOREA INSERT TG  (0) 2018.11.01
DMR PLUS DMR 통신  (0) 2018.10.30
BlueDV AMBE를 이용한 DMR+ 접속  (0) 2018.10.21

DMR+ IPSC2-KOREA INSERT TG(WW)

 

1. TS2

   2351, 2352, 2353

 

2. TS1

   2350

   3106, 3113, 3125, 3126, 3139, 3142, 3147, 3153, 3155

 

 

de HL1RR/LIM 73 !

Booking.com

'DMR+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DMR PLUS 서버 및 연결 현황  (0) 2018.11.01
IPSC2-KOREA WW TGs  (0) 2018.11.01
DMR PLUS DMR 통신  (0) 2018.10.30
BlueDV AMBE를 이용한 DMR+ 접속  (0) 2018.10.21
DMR+_IPSC2-KOREA TG 추가 안내  (0) 2018.1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