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AM 여행

듀플렉스(Duplex)와 심플렉스(Simplex)는 통신방식의 차이 입니다.

송신할때는 송신만하고 수신할때는 수신만하는 방식을 심플렉스(Simplex)라고 합니다.

송신하면서 수신도하고 수신하면서 송신도하는 방식을 듀플렉스(Duplex)라고 합니다.

일반적으로 우리가 PTT를 잡고 송신하고 수신할때는 PTT를 놓고 수신을하는 방식을

심플렉스(Simplex)라고 합니다.

여러분이 알고 있는 아날로그(VHF나 UHF)  리피터는 듀플렉스(Duplex) 방식이라고 합니다.

듀플렉스(Duplex)는 정확히 말하면 Duplex Repeater 라고 합니다.

여러분이 잘 사용하고 계신 PI-STAR 프로그램 Configuration에 들어가면 심플렉스는 Simplex Node라고 되어 있고, 듀플렉스는 Duplex Repeater 혹은 Half-Duplex on Hotspots 라고

되어 있습니다.

 

Simplex Node는 핫스팟에 안테나가 1개 있는것 즉 송신과 수신주파수가 같은것,

Duplex Repeater 혹은 Half-Duplex on Hotspots 는 핫스팟에 안테나가 2개 있는것

즉 송신주파수와 수신주파수가 다른것입니다.이때 송신주파수와 수신주파수가

간섭을 받지 않기위하여 즉 송신시 송신신호가 수신되지 않도록하기 위하여 보통

UHF에서는 5Mhz 이상의 간격을두고 주파수를 설정합니다.(Repeater 에서 권장 사항 입니다.)

 

그리고 듀플렉스(Duplex)와 심플렉스(Simplex)는 DMR TS1(슬롯 1), TS2(슬롯 2)하고는

상관없습니다.

잘못알고 있는 것 중에서 DMR TS1(슬롯 1), TS2(슬롯 2)는 듀플렉스 일때만 사용할수

있다고 간혹 이야기합니다.

DMR TS1(슬롯 1), TS2(슬롯 2)는 심플렉스에서도 사용할수 있습니다.

 

DMR TS1(슬롯 1), TS2(슬롯 2)는 쉽게 설명하면 1차선과 2차선이 있는 도로에서

승용차 A (DMR에서는 TG45004라고 가정하면)는 1차선으로 주행(DMR에서 교신)

하고, 승용차 B (DMR에서는 TG45022이라고 가정하면)는 2차선으로 주행(DMR에서 교신)

할수 있습니다. 그러나 승용차 A나 승용차 B가 1차선과 2차선으로 주행할수 없습니다.

1차선이면 1차선, 2차선이면 2차선을 선택해서 주행해야 합니다.

그러나 동시에 승용차 A는 1차선으로, 승용차 B는 2차선으로 주행할수는 있습니다.

정리하면 DMR에서는 하나의 TG에 TS1과 TS2가 있습니다.

여기서 동시에 홍길동은 TG45022 TS1에서 교신하고 갑순이는 TG45022 TS2 에서

교신을 할수 있습니다.

그러나 TS1에서 TS2는 송신과 수신이 안되고, TS2에서 TS1는 송신과 수신이 안됩니다.

 

심플렉스, 듀플렉스, 슬롯1, 슬롯2에 대하여 잘못알고 있어 설명을 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