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AM 여행

분류 전체보기 +93

XLXDMR Reflector에 대하여 작동원리를 설명하고자 한다.
XLXDMR 은 LX3JL OM 이 만든 소프트웨어로 전세계적으로 많이(거의 전부라고 할 수 있음) 사용하는 프로그램이다.

DMR 통신을 하기 위한 서버의 종류는
(1) BM서버
(2) DMR+ 서버(IPSC2)
(3) XLXDMR(Reflector)서버
이렇게 3개의 방식이 있습니다.

XLXDMR 소프트웨어는 내부적으로 DMR과 DSTAR가 같이 동작 하도록 설계된 프로그램이다.
다만 BM서버와는 DSTAR만 연결이 된다.
기본적으로 DSTAR 리플렉터에서 검증된 소프트웨어로서 안정적으로 DMR도 잘 동작하고 있다.
BM서버와 연결이 안되므로 BM서버를 이용하는 DMR과는 교신을 할 수가 없다.
DMR 무전기에 XLXDMR에 맞는 코드플럭을 해서 입력해야만 사용할수 있고 아직은 이용자가 많지는 않다.
주로 유럽지역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는 소프트웨어로서 국내에는 제가 운용하고 있는 XLX171 리플렉터가 최초이고 하나 밖에 없다.
XLX171 리플렉터는 동작방식이 다음과 같다.

XLXDMR서버의 장점은 하나의 서버로 DMR과 DSTAR를 같이 할 수 있다는 것이다.
DMR 통신은 TG가 4001 ~ 4026 까지 정해져 있고 다른 서버와 연결이 되어 있지 않아 동일 TG로 여러 사람이 동시에 교신을 할수 있는 장점이 있다.
많는 사람들이 검증하고 성능과 음질(품질)등 좋은 점이 많이 있으나 아직 사람들이 모르고 있어 사용자가 적은것 같다.
그러나 유럽지역에서는 XLX950 리플렉터를 통하여 많은 HAM 들이 DMR 교신을 하고 있고 XLXDMR서버가 많이 운용되고있다.
다른 DMR서버에 비하여 설치비용이 저렴하고 유지비용도 저럼한것이 XLXDMR 서버로 앞으로 많은 사람들이 운용 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 다른 장점으로는 DMR과 DSTAR간 크로스 교신이 된다는 점이다.
크로스 교신을 할 때 음질이 찌그러지는 현상이 발생하는데 이런 현상을 없애기 위하여 XLXDMR서버에 AMBE SERVER 를 연동하여 음질이 찌그러지는 것을 해소 한다.
de HL1RR 73 !!

'DV 이야기 > DMR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DMR 이해  (0) 2018.09.20
MD-398 DMR 무전기  (0) 2018.09.11
DMR+ SERVER INSTALL  (0) 2018.09.08
DMR+ MANUAL  (0) 2018.09.06
DMR 통신이란?  (0) 2018.09.01

무더운 날씨에 건강히 잘지내고 계시죠?
연일 무더위가 계속되고 있습니다.
빨리 서늘한 날씨가 왔으면 합니다.

이번에는 올타텐 QRP 무전기 만들기 도전기[2]를 시작하려고 합니다.
1. 케이스 만들기 입니다.

저는 3D 프린터가 있어 케이스를 3D 프린터로 만들었습니다.
무더운 날씨에 3D 프린터가 고생(?)을 많이 했습니다.
케이스는 밑판과 윗판 그리고 뒷판, 앞판, VFO 노브 볼륨노브등을 집에 있는 3D 프린터로 만들었습니다.
3D 프린터로 밑판 7시간, 윗판은 7시간 총 14시간 + 손질 1시간 = 15시간 걸렸습니다.
그리고 앞판은 2시간, 뒷판은 4시간 총 6시간 + 손질 1시간 = 7시간 걸렸습니다.
VFO, 볼륨노브등은 작아서 총 2~3시간 걸렸습니다.
이렇게 케이스만 만드는데 3일정도 소요되었습니다.
마음에 들지않으면 다시 설계해서 만들고를 몇번 했습니다.
나중에 날씨가 선선하면 좀더 이쁘게 만들려고 합니다.
다음은 3D 프린터로 만든 케이스 사진 입니다.



뒷판에는 나중에 리니어를 연결할수 있도록 PTT 잭을 추가 했습니다.
펌웨어 업그래이드 하면서 스팩트럼과 S-메타 기능을 추가하기 위하여 어제 하루 종일 고생 했습니다.
이젠 모든 기능이 다 잘나오고 있습니다. 수신음질도 많이 개선 되었습니다.

기본 부품말고 추가된 부품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아두이노 나노 1개가 필요 합니다.
2. 2.4인치 TFT LCD 액정 1개 가 필요 합니다.
3. 마이크잭, 8볼트 정전압 IC, 스피커 등 자잘한 부품이 들어 갔습니다.

만들기는 어렵지 않으나 처음하는것이라 시행착오도 많이 거쳤습니다.
특히 소프트웨어 등은 여러가지가 있어 이것 저것 해보고 마음에 드는것을 선택하는데 어려움이 있었습니다.
또한 추가로 회로는 구성해야 하는것이 있어(스팩트럼 및 S-메타 구현시) 집에 있는 부품을 활용하다보니

깔끔하지 않았습니다. 예로 20K옴 저항이 없어 10K옴 저항을 두개를 직렬로 연결하여 사용했습니다.
집에있는 부품을 재활용 하다보니 그렇게 되엇습니다.
배송된 콘덴서마이크는 단자가 접지와 붙어서 이것을 분리하느라 조금시간을 들기도 했습니다.
배송을 하려고 포장 할 때 아마도 시험해서 보내지 않아 그렇게 된것 같습니다.
이것을 만들면서 그동안 DMR,D-STAR,C4FM등을 하면서 사용하던 프로그램을 많이 활용 했습니다.
그리고 테스트를 하면서 실수로 안테나 또는 더미를 물리지 않고 해서 종단 FET가 망가져서 지금은
출력이 1W정도만 나옵니다. 부품을 알리에서 주문했는데 20일정도 걸려 도착해서 교체를 했습니다.

교체후 테스트를 해보니 발진을 하여 사용 할 수 가 없었습니다.

할수 없이 국내에서 비싸게 구입해서 교체후 테스트를 해 보니 정상적으로 동작을 했습니다.

다음에는 LCD 화면을 제가 원하는 디자인으로 변경하고 데이타를 표시할수 있도록 작업하려고 합니다.
그리고 SDR 기능을 아직 확인을 하지못하여 이것 또한 확인하려고 합니다.

무더운 날씨 입니다. 건강하시고  즐거운 하루하루가 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de HL1RR 73 !

'무전기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진공관 올드라디오  (0) 2018.10.23
CELL PHONE(휴대폰) 에서 AMBESERVER 연결  (0) 2018.10.22
RTLSDR를 이용한 JUMBOSPOT의 OFFSET 주파수 수정  (0) 2018.10.21
GD 77 무전기 사용기  (0) 2018.09.03
uBITX 사용기[1]  (0) 2018.08.31

여러 OM님 무더운 날씨에 잘 지내고 계시죠?
올타텐 QRP 무전기 이야기를 하기전에 “올타텐”을 만들수있도록 많은 조언을 해주신
HL1HG OM, HL2HI OM 그리고 HL1IM OM님께 감사드립니다.
모델명 : 올타텐
SN : 8010-01
출력 : 10W
수신 범위 : 3 ~ 30Mhz , 실제로는 100Khz ~ 30Mhz 입니다.
송신 범위 : HAM 전 밴드가 다 됩니다.
모드 : CW, SSB(LSB, USB) 만 됩니다.
모델명을 작명해주신분은  HL1HG OM, HL2HI OM님 입니다.
SN 를 작명해주신분 HL1IM OM 님 입니다.

정식 명칭은 uBITX QRP 무전기 입니다.
요기에 링크가 있습니다. http://www.hfsignals.com/
가격은 $129, DHL 배송비 $10 들었습니다.

원래 이렇게 생긴것 입니다.

LCD 액정은 16 X 2(2줄 16글자) 입니다.
LCD 액정 대신 2.4인치(또는 그 이상 크기도 상관 없음) TFT LCD 액정을 사용할수 있습니다.
이때는기본 펌웨어 대신 TFT LCD 를 사용할수 있는 펌웨어를 설치 하면 됩니다.
현재는 펌웨어 버전이 1.097 까지 나와 있습니다.
현재 저는 펌웨어를 1.097를 설치하여 조정중에 있습니다.
다음은 펌웨어 1.097를 기준으로 기능및 화면을 설명 드리겠습니다.

전원을 넣으면 첫 화면이 표시 됩니다.
VFO 는 A, B 두개가 있어 편하게 사용할수 있습니다.

이화면은 CW 에 대한 설정 화면 입니다.

이 화면은 메뉴 화면 입니다.

이화면은 CW 세부설정 화면 입니다.

주요기능으로는
1. SDR 기능이 있습니다.
2. 스펙트럼 및 DSP 기능 이 있습니다.
3. CW 디코더가 있어 화면이 글자가 나옵니다.
4. SPL, RIT, IF-S, ATT 기능 등이 있습니다.

제가 테스트 한 결과 수신성능은 좋은 것으로 판단 됩니다(IC-756PRO-3 와 비교)
수신음질은 30mm 스피커로 들었을때 고음이 나옴니다.(50mm 스피커를 내장하려고 주문 했습니다.)
송신음질은 고음에 왜곡현상이 있습니다. 왜그런지는 모르겠습니다
수신도 처음에는 고음과 왜곡 현상이 있었으나 조정하여(조정이란것이 소프트웨어적인것 입니다.)
현재는 좋아졌습니다.
송신도 음질이 안좋았으나 마이크를 조정하여 좋아 졌습니다.

다음에는 올타텐 케이스 만들기와 완성된 모습 그리고 발전된 것에 대하여 글을 쓰도록 하겠습니다.
글 솜씨가 없어 글을 잘 쓰지 않는데 이점 널리 이해 부탁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de HL1RR 73 !

'무전기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진공관 올드라디오  (0) 2018.10.23
CELL PHONE(휴대폰) 에서 AMBESERVER 연결  (0) 2018.10.22
RTLSDR를 이용한 JUMBOSPOT의 OFFSET 주파수 수정  (0) 2018.10.21
GD 77 무전기 사용기  (0) 2018.09.03
uBITX 사용기[2]  (0) 2018.08.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