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AM 여행

오늘은 케이스를 만들었습니다.

MMDVM_HS_DUPLEX 보드를 라즈베리파이에 올리고 냉각팬도 붙이고

LCD액정도 붙이고 했습니다.

 

해외직구대행 글로벌스피드 https://smartstore.naver.com/globalspeed

DMR 무전기 코드플럭 하는 방법 및 순서

 

DMR 무전기를 사용하려면 코드플럭을해서 DMR 무전기에 저장해야 합니다.

처음하는분을 기준으로 가급적 쉽게 설명하려고 합니다. 다음과 같이 순서대로 하면 됩니다.

MD-380G 를 기준으로 하였으나 다른 모델의 무전기도 비슷합니다.

코드플럭을 작성할떄 비슷한것끼리 순서대로 하면 됩니다.

 

1. 코드플럭 프로그램을 실행합니다.(무전기 모델에 따라 프로그램이 다름니다.)

2. 프로그램 화면에서 Contact(Digital Contacts) 를 클릭 합니다.

3. Add 를 클릭 합니다.

 

 

4. Contact Name 에 알기 쉬운 이름을 입력합니다. 이름은 중복으로 입력이 안됩니다.

여기서는 TG 577 그리고 TG 45004 라고 입력 했습니다.

5. Call Type 은 Group Call 로 합니다.

6. Call ID는 실제 사용할 TG를 입력 합니다. TG가 중복으로 입력이 안됩니다.

여기서는 577 그리고 45004 라고 입력했습니다.

 

7. 여기서는 RX Group 를 만들어야 합니다.

RX Group에는 가급적 하나의 TG 만 있는것이 좋습니다. 그렇지 않으면 실재 사용에 불편이 따릅니다.

8. RX Group(Digital RX Group Lists)을 클릭하면 화면과 같이 RX Group을 만들수 있습니다.

Group List Name 은 알기쉬운것으로 입력하면 됩니다.

9. 여기서는 Group List Name에 Group DMR+ 를 입력합니다.

10. 그리고 왼쪽 Available Contact 에서 TG 577 를 클릭한 다음 Add(화면에서 5번)를 클릭하면

오른쪽 Contact Member에 TG 577 이 나옵니다.

11. 화면에서 2번 Add를 클릭해서 RX Group을 하나 더 만듭니다.

 

12. Group List Name에 Group BM 를 입력합니다.

13. 그리고 왼쪽 Available Contact 에서 TG 45004 를 클릭한 다음 Add(화면에서 3번)를 클릭하면

오른쪽 Contact Member에 TG 45004 가 나옵니다

14. 이렇게 하면 RX Group은 만들어 진것 입니다.

15. 다음은 Channel 을 만듭니다. 화면에서 Channel(Channel Infomation)을 클릭하면 Channel을

만드는 화면이 나옵니다.

16. Channel Name 은 알기 쉽게 입력 합니다.(중복으로 입력이 안됩니다.)

Channel Mode 는 DMR 에서는 Digital 입니다.

Band Width 는 12.5Khz 임고 RX,TX 주파수는 핫스팟 주파수를 입력 합니다.

TOT[s] 는 PTT 누르는 시간 입니다.(초)

17. 여기서는 Channel Name 을 BM 으로 입력 합니다.

18. Contact Name 은 4번에서 입력한 TG 45004를 선택 합니다.

19. Group List는 7번부터 13번까지 만든 RX Group에서 하나를 선택 합니다.

여기서는 Group BM을 선택 합니다.

20. Color Code 는 1 을 선택 합니다.

21. Repeater Slot 는 BM에서는 1 을 선택 합니다.(DMR+에서는 1 또는 2 를 사용합니다.)

22. 여기서는 Channel Name 을 DMR+ 로 입력 합니다.

23. Contact Name 은 4번에서 입력한 TG 577를 선택 합니다.

24. Group List는 7번부터 13번까지 만든 RX Group에서 하나를 선택 합니다.

여기서는 Group DMR+을 선택 합니다.

25. Color Code 는 1 을 선택 합니다.

26. Repeater Slot 는 1 을 선택 합니다.(DMR+에서는 1 또는 2 를 사용합니다.)

 

참고

GD-77 코드플럭 프로그램

http://dmr-korea.dvham.com/

 

 

해외직구대행 글로벌스피드 https://smartstore.naver.com/globalspeed

DMR 통신에 도움이 될수 있도록 홈페이지를 만들었습니다.

 

홈페이지 주소는  dmr-korea.dvham.com   입니다.

dmr 통신에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그리고 궁금한 것이 있으면 항시 연락 주십시요.

감사합니다.

 

de HL1RR/LIM

 

 

 

해외직구대행 글로벌스피드 https://smartstore.naver.com/globalspeed

 

 

글로벌스피드 : 네이버쇼핑 스마트스토어

구매대행 전문 스토어. 엄선된 상품. 저렴한 가격. 안전 배송

smartstore.naver.com

Booking.com

pi-star 를 처음 시작하시는분을 위하여 처음부터 설명 합니다.

 

1. pi-star 이미지를 pi-star 싸이트에서 다운받아 압축을 푼다.

2. 압축을 풀면 "????.img" 파일이 보일것 입니다.

3. "????.img" 파일을 이미지 write로 이미지를 SD카드에 굽습니다.

4. 이미지를 만든 SD카드를 라즈베리파이 SD슬롯에 넣습니다.

5. 라즈베리파이에 LAN선을 연결한후 전원을 넣으면 됩니다.

6. 라즈베리파이에 전원을 넣은후 잠시후에 다음 화면과 같이 "Advanced IP Scanner"를 실행후

"Scan" 을 클릭합니다. 라즈베리파이에서 사용하는 IP를 찾기위한 것 입니다.다음 사진에는

pi-star IP가 192.168.1.23 입니다.

 

7. Advanced IP Scanner로 찾은 IP(여기서는 192.168.1.23)를 브라우저에 입력합니다.

8. 다음 화면에서 "Configuration"을 클릭합니다.

 

9. Configuration를 클릭하면 ID와 암호를 입력하는 창이 보입니다.

ID는 pi-star 를 입력하고, 암호는 raspberry 를 입력하고 확인을 클릭 합니다.

 

10. ID와 암호를 입력하면 다음과 같이 기본 화면이 보입니다.

 

11. 기본화면에서 다음 화면과 같이 호출부호, 주파수(무전기에서 사용할 주파수),도시와 국가,

Radio/Modem Type, Time Zone, Language 등을 다음 화면를 참고하여 입력 합니다.

12. 입력을 한후 "Apply Changes" 를 클릭합니다. Apply Changes를 클릭하면 변경된것이 저장

됩니다. 만약 변경하였으면 반드시 Apply Changes를 클릭해야 합니다.

13. Radio/Modem Type은 다음 화면에서 선택하면 됩니다.

14. 기본정보를 입력하고 저장하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옵니다.

여기서 DMR, D-STAR,YSF(C4FM)등을 설정할수 있습니다.

LCD 액정이 있으면 여기서 설정하면 됩니다.

다음 화면을 보고 설정하시면 됩니다.

15. 다음 화면에서 DMR ID 를 입력하면 됩니다.

DMR Master는 여러분이 사용할 DMR Master를 선택하시면 됩니다.

DMR+ 는 DMR+ IPSC2-KOREA를 선택하시면 됩니다.

 

16. 다음 화면은 WiFi를 설정하는 화면 입니다.

화면에서 "Configure WiFi" 를 클릭합니다.

 

17. Configure WiFi 를 클릭하면 다음 화면이 나옵니다.

여기서 "Add Network"를 클릭 합니다.

 

18. Add Network 를 클릭하면 다음 화면이 나옵니다.

여기서 SSID와 PSK를 입력하고 저장합니다. PSK는 WiFi 암호 입니다.

 

이상으로 pi-star 를 처음 사용하시는 분을 위하여 대략적으로 설명했습니다.

많이 미흡하겠지만 처음하시는분이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de HL1RR/LIM 73!!

 

 

Booking.com

 

 

해외직구대행 글로벌스피드 https://smartstore.naver.com/globalspeed

라즈베리파이 P2, P3 에서 사용할수 있는 

BlueDV , dv4mini 이미지 파일 입니다,

VNC 가 설치 되어 있습니다.


pi 암호 : 1234

VNC 암호 : raspberry



https://www.dropbox.com/s/7fxrmvmgurogye8/VNC%2BBlueDV%2Bdv4mini.egg?dl=0

 

 

 

글로벌스피드 https://smartstore.naver.com/globalspeed

안녕하세요?

국내에서 사용중인 ThumbDV 를 이용한 BlueDV AMBEServer 를 만들었습니다.

이것은 WINDOWS 용이 아닌 리눅스 용 입니다.

라즈베리파이 에서 사용할수 있는 BlueDVAMBEServer 프로그램 입니다,

프로그램 이미지 사이즈가 4GB 입니다.

사용법은 압축을 푸신후

SD 카드에 WRITE 한후 라즈베리파이에 삽입한후 전원을 켜면(ON) 자동으로

프로그램이 실행 됩니다.(별도 설정이 없습니다. 핸드폰만 설정하면 됩니다.)

.

핸드폰에서 BlueDVAMBE 를 실행한다음 "SETUP" 으로 들어가서

1. AMBEServer IP 를 라즈베리파이 IP를 입력한 후

2. AMBEServer port 는 2460 을 입력하고

3. SUBMIT 를 눌려 저장하면 됩니다.

4. 명령어

   가. start.sh ---> 수동으로 프로그램 START

   나. stop.sh ---> 수동으로 프로그램 STOP

.



압축을 하여도 상당히 많은 양으로 배포하는데 고민을 많이 하였습니다.

많은 사람이 잘 사용했으면 합니다.


파일 다운로드 https://www.dropbox.com/s/pb488ps7kdt6e9n/BlueDV-AMBEServer-4GB.egg?dl=0

감사합니다.



 

de HL1RR 73 !


 

글로벌스피드 https://smartstore.naver.com/globalspeed

'DV 이야기 > DMR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pi-star 시작하기  (0) 2019.04.01
라즈베리용 BlueDV dv4mini 이미지  (0) 2019.03.04
DMR 통신에서 TDMA방식은 무엇인가?  (0) 2018.11.07
DMR 통신 4  (0) 2018.10.24
DMR 통신 3  (0) 2018.10.24

ㅁ TDMA

  ㅇ 다원접속(Multiple Access) 방식 중 하나
     - 시간축을 여러 시간구간으로 나누어서, 각 사용자가 자기에게 할당된 시간구간을
       다른 사용자의 시간구간과 겹치지 않게 사용하는 방식
     - 이때, 주파수영역에서는 하나의 동일한 반송 대역폭을 여럿이 공유 사용


ㅁ TDMA 특징

  ㅇ 데이타전송이 군(burst) 형태로 불연속성을 가지며 특정시각에 전송
  ㅇ 대역폭이 변조방식에 크게 의존
  ㅇ FDMA에 비해 심한 부호간 간섭(ISI)을 일으킬 수 있음
  ㅇ 주어진 시간구간에서는 전체 주파수 대역 사용
  ㅇ 이동전화(셀룰러시스템 등)에의 응용


ㅁ TDMA 장.단점

  ㅇ 장점
     - FDMA에 비해 주파수효율이 3~6배 정도
     - FDMA에서와 같은 듀플렉서(Duplexer)는 필요 없음

  ㅇ 단점
     - ISI를 극복하기 위한 등화기가 필요함
     - 데이터 프레임화에 따른 오버헤드 부담으로 전송효율이 다소 낮음
     - 수신시에 반송파 동기,비트시간복원,프레임 동기 등이 필요하여 복조기가 복잡함
     - 주파수대역 및 타임슬롯 수에 따라 용량이 제한됨

Booking.com

'DV 이야기 > DMR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라즈베리용 BlueDV dv4mini 이미지  (0) 2019.03.04
[4GB]라즈베리파이 용 ThumbDV 서버 프로그램  (0) 2019.03.04
DMR 통신 4  (0) 2018.10.24
DMR 통신 3  (0) 2018.10.24
DMR 통신 2  (0) 2018.10.24

1. 타임슬롯(TimeSlot)이란 무엇인가?

   타임슬롯을 의미대로 해석하면 시간(time)의 틈새(slot)를 합성한 단어이며,  DMR은 이 시간의 틈새를 이용한 통신방법입니다. 타임슬롯은 주로 중계기에 사용하므로 중계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겠습니다.
두개의 무선기에서 같은 주파수로 동시에 송신하면, 중계기에서는 혼신이 생기거나 강한 신호만 수신합니다. 이대로는 양쪽의 신호를 함께 수신할 수가 없습니다. 양쪽에서 송신하는 내용을 함께 들으려면 조금씩 끊어서 송신을 하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A가 10초 송신하고 끝나면, B가 송신하는 식입니다. 만약 이것을 아주 빠르게 교대로 송신한다면, 일반 음성의 경우에, 음이 끊겨서 알아 듣기가 어렵지만, 디지털신호라면 처리가 가능합니다.
아주 빠른 디지털신호라면 반씩 끊어서 송신해도 다시 음성으로 디코딩하면 알아듣는데 지장 이 없는 음성으로 만들 수 있습니다. 교대로 송신하는 시간도 30ms(3/100초)로 엄청나게 짧 게 할 수 있습니다. DMR로 송신할 때 계속 PTT를 잡고 있지만 내부적으로는 이렇게 빠르게 끊어서 송신을 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메이커에서 표시하는 출력을 제대로 측정하기 어려운 것입니다.
이렇게 교대로 송신할 때 또 한가지 고려해야 할 점은, 두 개의 신호가 서로 겹치면 혼신이 발생하므로 시간을 잘 맞추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그런데 두 송신기에서 이것을 알아서 처리 하기는 어렵기 때문에 수신하는 중계기에서 교통정리를 해 줍니다. 각 송신기에서 송신을 시 작할 때 박자를 알려줍니다. 그 박자에 따라 A, B가 시간의 틈새(TimeSlot)를 맞추게 되는데, 이것을 동기(싱크)화라고 합니다. 이것 때문에 DMR 무선기에서 리피터로 송신할 때, 리피터가 보내는 시작신호를 받은 후에 송신을 하게 되는 것입니다.

다시 정리하면, 같은 주파수에서, 같은 시간에 두 대의 송신기에서 중계기로 송신할 때, 서로 시간을 번갈아 가면서 송신하는데, 이때 각 신호의 시간적 틈새를 각각 타임슬롯1, 타임슬롯2 라고 합니다. 송신할 때 A, B가 TS1과 TS2를 선택해서 송신을 해야 합니다. 같은 타임슬롯 으로는 동시에 송신이 되지 않습니다.
이와 관련한 용어를 하나 더 말씀드리면,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입니다. 한글로 번역하면, 시간분할다중접속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시간분할접속”은 위에서 설명하였듯 이 한 대 이상의 송신기가 시간의 틈새를 이용 하여 교대로 송신한다는 것입니다. DMR 또한 TDMA 방식의 일종입니다.

 

2. 타임슬롯과 코드 타임슬롯(TS)도 코드의 하나입니다.

  TS1 또는 TS2라는 코드에 따라 시간의 틈새를 다르게 사용하는 것입니다. 이것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코드의 역할에 대하여 다시 따져볼 필요가 있 습니다. DMR에서 사용하는 3가지의 코드는 아래와 같은 역할을 합니다.
칼라코드(CC, Color Code) : 신호의 구분 토크그룹(TG, Talk Group) : 신호의 구분 또는 명령(예 : TG4000 등) 타임슬롯(TS, TimeSlot) : 신호의 구분 및 명령
위의 내용이 이해가 되지 않아도 상관은 없습니다. TS도 그냥 코드 중 하나이며, 무선기에서 TS1 또는 TS2의 선택에 따라 어느 시간의 틈새를 이용하여 송신을 할지 전환한다는 것만 이 해하면 됩니다. 물론 수신도 TS에 맞는 것만 수신합니다. “코드가 맞아야 제대로 수신된다”는 것은 TS도 마찬가지입니다.


3. 리피터와 타임슬롯

   타임슬롯을 이용하면 같은 주파수에서도 독립된 두 개의 통신이 가능하다고 하였습니다. 2개 의 타임슬롯을 이용한 DMR 리피터는 1대만 설치하여도 일반적인 리피터 2대를 설치한 것과 같습니다. 하나의 주파수에서 두 개의 통신이 개별로 이루어지기 때문입니다. 이 점이 DMR 리피터의 가장 큰 장점이지만 사용자 입장에서는 혼동이 되기도 합니다.그러면 실제 리피터 내부에서는 어떻게 작동하는지 살펴보겠습니다. 두 대의 무선기에서 송신 을 하면 같은 주파수이므로 고주파적으로는 하나의 신호가 됩니다. 리피터는 신호를 그대로 출력해 주므로 기본적으로 동일한 신호를 다른 주파수로 송출합니다.
한편 리피터에서는 이 신호를 TS1과 TS2 로 분리하고, 타임슬롯별로 데이터(음성 데이타+TG코드)를 추출한 후, BM서버로 보 냅니다. BM서버로 보낼때는 TS1, TS2의 구분이 없이 음성데이타+TG코드만 전달이 됩니다.
BM에서 오는 신호가 있으면, 각 타임슬롯 의 신호에 TS코드를 추가하고, 두 신호를 병합하여(하나가 있으면 하나만 타임슬롯 에 실어서) 하나의 고주파 신호로 송출합 니다.
여기서 중요한 내용은, BM에서는 두 개의 타임슬롯을 별개의 리피터처럼 인식한다 는 것입니다. 이름은 TS1, TS2로 구분하 고 있지만, 두 개의 리피터가 있는 것으로 인식합니다. 그 외의 작동은 모두 핫스팟과 동일합니다.리피터는 사용할 TG를 미리 정해 두고 가능하면 이것을 벗어나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Booking.com

'DV 이야기 > DMR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4GB]라즈베리파이 용 ThumbDV 서버 프로그램  (0) 2019.03.04
DMR 통신에서 TDMA방식은 무엇인가?  (0) 2018.11.07
DMR 통신 3  (0) 2018.10.24
DMR 통신 2  (0) 2018.10.24
DMR 통신 1  (0) 2018.10.24

1. BM(BrandMeister)이란 무엇인가?

  BM의 기술적인 정의를 간단히 설명하면, BM은 자작제품을 포함한 어떠한 핫스팟 및 리피터 라도 연결할 수 있도록 만든 범용의(brand) 마스터서버(Meister)입니다. 특히 이것은 아마추 어무선사들이 모여서 만든 것이므로 아마추어무선 활동에 잘 맞게 만들었고, HAM들의 요구 에 따라 지속적으로 개선해 나가고 있습니다.
BM은 네트워크의 디지털 중계장치입니다. 중계장치는 입력(uplink)이 있으면 출력(downlink) 을 해 주는데, BM도 네트워크를 통한 입력이 있으면 네트워크로 출력을 해 주는 장치입니다. 브랜드마이스터라고 하는 단어 자체의 무게 때문인지, BM이 내부적으로 무언가 복잡한 기능 을 수행할 것으로 생각하는 분들이 많은 것 같습니다. BM의 웹사이트에서는 많은 데이터가 움직이는 것이 보이고, Hoseline을 통해서는 각 TG의 음성신호를 들을 수도 있어서 BM이 엄 청나게 복잡한 일을 하는 것처럼 보이기도 하지만 사실 BM의 기본적인 기능은 “네트워크의 디지털 중계장치”입니다.
  우리가 TG를 변경하는 것이 마치 BM에 있는 대화방을 변경하는 것처럼 느껴질 수 있지 만 TG를 맞추고 송신하면 BM에서는 그대로 중계를 해 주는 것이 전부입니다. D-star는 특정 리플렉터를 연결한 후에 송신을 하지만, DMR은 TG를 맞추고 송신하면 그만입니다.  TG는 여러개의 코드중 하나로, 음성데이타와 함께 보내는 코드, 즉 데이터의 일 부입니다. BM에도 리플렉터가 있고, 리플렉터를 연결할때는 BM 내부의 대화방에 연결한 후 교신을 하게 됩니다. 하지만 DMR에서의 리플렉터는 큰 의미가 없어서 많이 사용되지는 않습니다.BM을 간단히 중계장치라고 했지만 그 규모나 능력을 낮추어서 얘기하려는 것은 아닙니다. 단 지 데이터 처리를 통해 나타나는 부가적인 여러 가지 기능으로 인해 본래의 기본적인 역할이 혼동되어서는 안 된다는 것을 강조하기 위한 것입니다. 그리고 디지털 중계장치이므로 아날로그의 중계장치와는 차이가 있습니다. 아날로그 중계기는 입력되는 모든 신호를 무조건 송출하지만, BM은 디지털 중계장치이므로 입력되는 신호를 분석하여, 필요한 노드에, 필요한 데이터를, 필요한 시간만큼 보내주도록 만들어진 스마트한 중계장치입니다.

 

2. 아날로그 네트워크와의 차이점

BM은 디지털 네트워크 중계장치인데, 기존의 아날로그 네트워크와 어떻게 다른지 비교하여 설명하겠습니다. 아날로그 중계기가 여러개 연결되어 있는 것을 아날로그 네트워크라고 한다면, 디지털 중계기가 여러개 연결된 것을 디지탈 네트워크라고 할 수 있습니다. 아날로그는 입력(uplink)이 있으면 모든 노드로 출력(downlink)을 합니다. 이때는 다른 통신 을 할 수 없고 모든 노드는 입력이 끝날 때까지 기다려야 합니다. 같은 시간에 여러개의 통신 을 할 수 없습니다.
이와 달리 디지털 네트워크는 따로따로 별개의 통신이 가능합니다. 서울과 부산이 교신할 때 광주와 대구는 별개의 교신이 가능합니다. 이것이 디지털 네트워크의 핵심적인 내용입니다. 이 외에도 디지털 네트워크의 장점은 많이 있지만 사용자 입장에서는 굳이 몰라도 되는 내용 이라 생략합니다. 복잡한 내용은 접어두고 “BM은 필요한 노드에, 필요한 데이터를, 필요한 시 간만큼 보내주도록 만들어진 스마트한 디지털 중계장치이다.”라고만 아시면 충분합니다.


3. DMR과 BM

 D-star는 아마추어무선에 맞게 개발되었고, DMR은 상업용통신에 맞게 개발되었습니다. 통신의 주체는 D-STARS는 송신자 중심의 통신이고 DMR은  수신자 중심의 통신 입니다. D-star가 송신자 중심이라고 한 것은, 어딘가에 연결한 다음 송신하므로 송신자가 원 하는 곳으로 송신이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DMR은 TG만 맞추고 송신하는 것이기 때문 에 특정국에게 송신하는 것을 결정한 것은 아닙니다. 수신을 하는 것은 수신측에서 TG만 맞 추면 들을 수가 있으므로 수신자 중심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TG가 포함된 신호를 원하는 곳으로 보내줍니다. 어디에서 원하고 있는지는 송신자가 모두 알 기 어렵습니다. 원하는 수신자는 BM에 미리 요구해 두면, BM에서 그에 해당하는 TG의 신호 가 입력이 되었을 때 그쪽으로 출력해주는 것입니다.
먼저 무선기에서 TG45004를 맞추고 송신하면, 핫스 팟이 BM으로 중계하고, BM에서는 이 핫스팟(1234567)이 TG45004가 포함된 신호를 원한다 고 인식합니다.
이후에 BM으로 입력되는 여러개의 신호가 있을 때, TG45004가 포함된 신호가 들어오면, 핫 스팟(1234567)으로 그 신호만 송출해 주는 것입니다.


4. 다이나믹(Dynamic)TG와 스태틱(Static)TG

  다이나믹과 스태틱이란 단어는 인터넷의 IP주소에서도 많이 사용하는 용어입니다. 유동IP, 고정IP라는 얘기는 많이 들어보셨을텐데, 인터넷 IP주소에서, 유동IP = 다이나믹IP, 고정IP = 스태틱IP입니다. TG를 얘기할때도, 유동TG = 다이나믹TG, 고정TG = 스태틱TG 입니다. 일정시간이 지나면 BM에서의 설정이 없어지는 TG를 다이나믹TG라고 합니다. 이것은 1234567이라는 핫스팟 의 입장에서 다이나믹TG인것입니다.
마지막에 남은 TG450은 계속해서 핫스팟(1234567)으로 보내주기 때문에 스태틱TG가 됩니다. 핫스팟을 껏다가 켜더라도 BM에서는 계속 설정값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여전히 TG450은 스태틱 TG로 남아 있습니다.

 

5. 스태틱TG의 설정방법

  위의 내용에서 TG450이 스태틱TG이지만 이것도 계속 유지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만약 TG4000(Group Call)을 송출하여 BM의 설정값을 지우면, 마지막으로 설정되어 있던 스태틱 TG도 지워지게 됩니다. 그리고 지금까지의 내용을 보면 스태틱TG는 마지막에 송신한 TG만 스태틱TG가 되기 때문에 스태틱TG는 한 개만 설정이 가능됩니다.
일반적인 사용이면 이렇게만 사용하여도 사실 큰 불편은 없지만, 필요에 따라 여러개의 스태 틱TG를 만든다는지, TG4000으로 설정값을 지우지 못하도록 하는 방법도 필요한 경우가 있습 니다. 이것은 무선기나 핫스팟에서는 할 수 없고, BM의 웹사이트에서 해야 합니다. 꼭 스태틱 TG의 설정이 아니더라도 BM의 웹사이트를 통해서 여러 가지 내용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이 에 대한 내용을 알아두면 좋습니다.


6. BM 웹사이트 등록 BM의 웹사이트에서 일부 내용은 가입을 하지 않아도 되지만, “나의 핫스팟 설정” 등은 가입 을 하고 로그인을 하여야 합니다.
웹브라우저에서 아래의 주소로 연결합니다.
https://brandmeister.network
오른쪽 위에 있는 Register를 눌러서 email주소와 비밀번호, DMR ID 등을 입력하고 등록합 니다. 곧 이어 email을 확인해보면, 다음과 같은 내용이 있습니다. “this link”라고 된 부분을 눌러서 BM 화면이 다시 열리면 최종 등록이 완료됩니다.

Booking.com

'DV 이야기 > DMR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DMR 통신에서 TDMA방식은 무엇인가?  (0) 2018.11.07
DMR 통신 4  (0) 2018.10.24
DMR 통신 2  (0) 2018.10.24
DMR 통신 1  (0) 2018.10.24
Alinco DJ-MD5TGP Dual Band DMR HT W/GPS  (0) 2018.10.21

1. 무선기와 핫스팟과 서버

  현재 아마추어무선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서버는 DMR+(DMR PLUS라함),브랜드마이스터( BM이라고 함)입니다. BM과 핫스팟(Hotspot), 그리고 핫스팟과 무선기와의 동작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를 알아 보겠습니다.
BM은 많은 노드들이 네트워크를 통해서 연결되어 있는 서버이며, 핫스팟은 많은 노드중 하나 입니다. 핫스팟은 네트워크+송수신기로 이루어져 있으며, 한쪽에서 입력이 있으면 다른쪽으로 출력을 해 주는 중계장치입니다.
무선기를 TG450으로 맞추고 PTT를 잡으면, 핫스팟에서 고주파수신이 되고, 핫스팟은 입력을 받았기 때문에 네트워크로 출력합니다. 네트워크에서 신호가 들어오면, 고주파로 송신을 하고 이것은 무선기에 수신이 됩니다.
무선기에서는 코드(TG)가 맞으면 음성을 디코딩하여 들려주지만, 코드가 맞지 않으면 LED가 점등은 되어도 소리는 들리지 않습니다. 핫스팟은 네트워크와 고주파송수신기 사이의 중계기입니다. 네트워크와 고주파 사이의 인터페 이스라고 할 수도 있습니다. 중계기로써의 역할 이외에 여러 가지 추가적인 설정이 가능하도 록 만들기도 하지만, 핫스팟의 기본기능은 네트워크와 고주파송수신기 사이의 중계기입니다.
핫스팟과 BM 사이에서는 DMR의 3가지 코드중에서 TG(토크그 룹)이라는 코드만 사용하므로 BM 설명에시 코드라고 하면 TG(토크그룹)라고 이해하시기 바랍 니다.

 

2. BM(브랜드마이스터)에서 핫스팟으로 어떤 신호를 보내주는가? 핫스팟이 BM에 연결되면 BM에서는 어떤 ID를 가진 장치가 연결되었는지 인식합니다. 예를 들어 DMR-ID 1234567이라는 핫스팟이 BM과 연결된 상태에서, 무선기를 TG45004로 맞추고 PTT를 잡으면, 핫스팟에서 수신이 되고, 핫스팟은 그 신호를 BM으로 보냅니다.
BM에서는 핫스팟(1234567)으로부터 TG45004라는 코드가 포함된 신호를 수신하게 됩니다. 이것을 수신한 BM에서는 핫스팟(1234567)에 TG45004라는 것을 설정해 두고, 지금부터 BM 의 네트워크를 통해서 TG45004 코드가 포함된 신호를 수신하면, 그 신호를 1234567 핫스팟 으로 보내줍니다.
BM에서는 각 핫스팟을 DMR-ID로 구분합니다. DMR-ID는 핫스팟을 설정할 때 입력하 고 이것은 그 핫스팟의 고유 ID가 됩니다. 핫스팟이 여러개일 경우에 각각 다른 DMR-ID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D-star에서는 여러개의 장치가 있는 경우라도 한 사람당 하나의 ID 만 등록하고 그 아래에 여러개의 장치를 등록하도록 하고 있지만, DMR은 여러개의 장치가 있는 경우에 각각 별도의 ID로 등록하는 것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한 사람이 여러개의 ID를 미리 독점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대안으로 개인 DMR ID 뒤에 00~99까지 숫자를 임으로 붙여 사용할수 있습니다.


3. TG450에 맞추었는데, TG45004의 신호가 들린다? TG45004에서 한번 PTT를 잡았다 놓으면, BM에서는 핫스팟(1234567)으로 TG45004가 포함된 신호를 보내주도록 설정합니다. BM에서는 계속해서 이것을 기억하는 것이 아니고, 10분이 지나면 이 설정을 지웁니다. (시간 은 BM의 서버관리자가 변경할 수 있음) 만약 TG45004에서 PTT를 한번 잡고, 5분후에 TG450에서 PTT를 잡는다면 앞으로 5분동안은 TG450과 TG45004의 코드가 포함된 신호를 모두 받을 수 있게 됩니다.

핫스팟에서는 네트워크로부터 신호를 받으면 그대로 고주파로 중계해 줍니다. 이때 무선기의 LED가 점등되지만, 아래의 그림과 같이, 무선기의 설정에 따라 음성이 들리기도 하고, 들리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다시 5분이 지나면, BM에서 TG45004가 포함된 신호는 더 이상 보내주지 않고 TG450의 신 호만 보냅니다. 그리고 마지막 TG450에서 PTT를 잡은후에 더 이상 PTT를 잡지 않으면, BM 서버에서의 마지막 TG에 대한 설정은 계속 유효하게 동작합니다. 즉, TG450이 포함된 네트 워크 신호가 있으면 시간이 지나도 계속해서 핫스팟(1234567)으로 보내주게 됩니다.


4. 다른 TG의 신호가 나오지 않도록 할 수 없는가? 위의 예에서, TG450으로 변경했는데도, TG45004의 신호가 수신될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셨으리라 생각합니다. 음성수신이 되거나 안되거나 상관없이 수신 LED가 점등되므로 송신을 할수 없습니다. 이렇게 되면 다른 TG로 이동을 할수도 없습니다. 듀플렉스인 경우는 상관없이 이동할수 있습니다.그러나 심플렉스 인경우 만약 이것이 불편하다면, 남은 시 간동안 기다릴 필요없이 바로 BM의 설정값을 지우는 방법이 있습니다. BM서버에 접속해서 하는 방법은 다음편에서 설명하도록 하고, 여기에서는 무선기에서 바로 실행하는 방법을 설명 하겠습니다.방법은, BM으로 TG4000의 신호를 보내면 됩니다. 실제의 방법은 무선기마다 다르므로 개략 적인 방법을 설명하면, 무선기의 프로그램을 할 때, TG4000(Group Call) 채널을 만들어 두 고, TG4000 채널로 맞춘후 PTT를 한번 잡았다 놓으면 됩니다. 이렇게 TG4000을 보내면, 마 지막의 TG 설정값인 TG450에 대한 내용도 모두 지워지게 되고, 이후에 BM에서는 이 핫스팟 (1234567)으로 음성데이터 신호를 보내주지 않게 됩니다.
TG4000 코드는 DMR에서 특별한 명령코드로 인식합니다. TG4000(Private Call)은 리플 렉터의 연결을 끊는 명령으로, TG4000(Group Call)은 리플렉터뿐만 아니라 설정된 모든 TG 의 값을 지우는 명령으로 인식합니다. 이 명령을 실행하면, BM에서는 우렁찬(?) 여자 목소리 로 “Unlinked”라고 송출합니다.

 

Booking.com

'DV 이야기 > DMR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DMR 통신 4  (0) 2018.10.24
DMR 통신 3  (0) 2018.10.24
DMR 통신 1  (0) 2018.10.24
Alinco DJ-MD5TGP Dual Band DMR HT W/GPS  (0) 2018.10.21
MMDVM Duplex v1.2 Firmware.  (0) 2018.1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