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AM 여행

HAM을 위해서 개발된 D-star와 달리 DMR은 상업용으로 개발되었기 때문에 아마추어무선사 가 사용할 때 금방 이해가 되지 않는 부분이 있습니다. 게다가 핫스팟과 함께 인터넷에 연결 해서 사용하기 때문에 더욱 더 복잡합니다.

 

1. 칼라코드, 타임슬롯, 토크그룹은 무엇인가? DMR의 통신코드에는 칼라코드(Color Code), 타임슬롯(TimeSlot), 토크그룹(Talk Group)이 있습니다. 두 DMR 무선기 사이에 교신이 성립되려면, 주파수만 맞추어서는 교신이 되지 않 고 통신코드도 함께 맞추어야 합니다.
두 무선기가 통신을 하려면, 우선 주파수가 같아야 하지만 주파수가 같아도 코드가 같지 않으 면 통신이 되지 않습니다. TG450으로 간다는 얘기는, TG450으로 코드를 맞춘다는 것입니다. DMR의 통신코드는 마치 아날로그 무선기의 톤스퀠치와 같습니다. 아날로그 FM무선기에서도 톤이 맞지 않으면 서로 교신이 되지 않는 것과 같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3가지 코드중 하나를 TG(토크그룹)라고 이름을 지은 것은 이름일뿐입니다. 물리적이나 소프트웨어적으로 할당된 공간이 있는 것이 아닙니다. 이름을 이렇게 짓다보니, 마치 대화를 하는 모임인 것처럼 이해될 수 있지만 TG는 대화방이 아니고 코드의 일부이며 이 코드(TG)를 맞추 었기 때문에 통신이 되는 것입니다.
3가지의 코드 중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코드는 TG(토크그룹)입니다. 특히 우리가 사용하는 브랜드마이스터 서버에서 각 신호의 인식을 위해 가장 중요하게 구분하는 것은 TG라는 코드 입니다. 신호에 포함된 코드(TG)를 분석하여 그 신호를 어디로 보낼 것인지 결정하게 됩니다.


2. 여러개의 TG를 스캔할 수 있는가? 아날로그 무선기에 여러개의 주파수를 스캔하는 기능이 있듯이, DMR에도 여러개의 TG를 스 캔하는 기능이 있습니다. 하지만 아마추어무선, 특히 서버(브랜드마이스터)를 사용할때는 아래 와 같은 이유로 추천하지 않는 방법입니다. - 송수신을 반복하기 때문에 밧데리 소모가 많아진다. - 서버에 연결하여 스캔시, 시간이 많이 걸린다. - 서버에 연결하여 스캔시, 현재의 TG가 아닌 다른 TG의 신호가 들린다. (다이나믹 TG와 관련된 문제)


3. RX그룹은 무엇인가? DMR의 RX그룹은 여러개의 TG를 함께 수신할 수 있도록 만드는 기능입니다. 예를 들어, TG450을 수신할 때, TG45021, 45022, 45023을 함께 수신하도록 프로그램할 수 있습니다. 무선기의 종류마다 실제의 방법에는 차이가 있지만, 우선, TG45021, TG45022, TG45023을 묶어서 그룹이름을 만듭니다. 만약 KOR1이라고 이름을 붙였다면, TG450 채널을 만들 때, RX그룹기능을 on하고, 함께 수신할 그룹을 KOR1으로 지정하면 됩니다.
이렇게 만들면, TG450에 맞추었을 때 다른 3개의 TG도 함께 수신이 됩니다. 동시에 수신되 는 것이 아니고 가장 먼저 입력되는 TG의 신호를 수신합니다. 반대로 TG45021에 맞추었을때 에는 다른 TG의 신호가 수신되지는 않습니다. 그렇게 하려면 TG45021 채널을 만들 때, RX 그룹기능을 on하고, 함께 수신할 그룹 이름을 지정해 주어야 합니다.


4. 모든 TG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가? 위에서 설명한 RX그룹은 정해둔 TG의 신호만 함께 수신할 수 있지만, 모든 TG의 신호를 수 신할 수 있는 기능도 있습니다. 이것은 무선기의 종류마다 기능이 있을 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기 때문에 이런 기능도 있다는 정도로 설명을 줄입니다.
이 기능을 버튼 하나로 켜고 끌 수 있다면, 프로그램을 해야 하는 RX그룹보다 편리하게 사용 할 수도 있습니다.

Booking.com

'DV 이야기 > DMR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DMR 통신 3  (0) 2018.10.24
DMR 통신 2  (0) 2018.10.24
Alinco DJ-MD5TGP Dual Band DMR HT W/GPS  (0) 2018.10.21
MMDVM Duplex v1.2 Firmware.  (0) 2018.10.21
DMR 이해  (0) 2018.09.20

http://www.alinco.com/Products/dmr/DJ-MD5/DJ-MD5.pdf 


Programing Cable도 보이고(제품에 포함된것으로)

CPS(프로그래밍 소프트웨어)도 보이네요. ㅎㅎ

가격도 착한 가격 같은데 구입해도 좋을 듯... 

https://www.hamradio.com 

햄라디오에서 판매하는 가격은

GPS있는 모델이 $169.95,  GPS없는 모델이 $149.95

단, 현재 재고가 없습니다. ㅎㅎㅎ 

그리고 Codeplug는 직접 하셔야 합니다. 어려운 이야기죠? ㅋㅋ

Codeplug 기본은

1) Contacts (가져오기도 가능하다함.  약 16만개), 2) Digital Channel (4천개까지 생성가능), 3) Zone(최대 250개)

이러한 순서로 만드시면 됩니다.



'DV 이야기 > DMR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DMR 통신 2  (0) 2018.10.24
DMR 통신 1  (0) 2018.10.24
MMDVM Duplex v1.2 Firmware.  (0) 2018.10.21
DMR 이해  (0) 2018.09.20
MD-398 DMR 무전기  (0) 2018.09.11


 


빨간 원형 JP1 이곳 점퍼 연결 후


pi-star 접속 > Configuration 화면에서 > Expert 클릭 > SSH Access 클릭


id  : pi-star    

pw : raspberry   


sudo pistar-mmdvmhshatflash hs_dual_hat  


PS  :  라즈베리 3B+ 에서는 업그레이드 불가능 


         라즈베리 3B에서 HS_Hat:v1.4.8 업그레이드 완료


         업그레이드 후 점퍼 원상복귀



'DV 이야기 > DMR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DMR 통신 1  (0) 2018.10.24
Alinco DJ-MD5TGP Dual Band DMR HT W/GPS  (0) 2018.10.21
DMR 이해  (0) 2018.09.20
MD-398 DMR 무전기  (0) 2018.09.11
DMR+ SERVER INSTALL  (0) 2018.09.08

우리가 사용중인 디지털 교신 방식은 DMR, SYSTEMFUSION(C4FM), D-STAR 등이 있으며

그동안 서로 독립된 교신 방식에 따라 많은 유저를 만들고 개별적으로 비약적인 발전을 하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인간의 욕심은 끝이 없듯이 단독적인 교신 방식에 실증을 느끼고 타 교신 방식을 기웃거리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문제는 각기 다른 교신 방식을 사용함에 따라 엄청난 비용을 지불하고 모드별로 리그를 구입하고

교신시마다 리그를 교체해 가면서 사용하는 불편함이 있는 등 여러 이유로 인해 디지털 크로스모드 교신이 만들어지게 되었습니다.

크로스모드 교신은 전파형식, 대역폭 등이 서로 다름에도 상호 교신이 되게 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우리나라 디지털 교신이 도입된 시기는 2015년초 D-STAR를 시작으로 2015년 하반기에 SystemFusion이, 2016년 중반기에 DMR이 들어오게 되었습니다.

2015~6년초까지 D-STAR와 C4FM 동시운영자는 비싼 리그를 따로 구입해야 하는 불편이 있었으나

DMR의 도입과 발전으로 더 이상 추가로 비용을 들이지 않고 크로스모드 교신을 통해

많은 디지털 유저들과 QSO를 하게 되었습니다.



1. 대한민국에서 사용중인 DMR은 어디에 연결되어 있을까요?
2. 우리가 알고 있는 4501은 무엇일까?
3. TALKGROUP(TG)은 무엇일까?
4. TS1, TS2는 무엇일까?

어렵지요? 글쓰는이도 사실은 모르는것 투성입니다. 왜? 우리가 만들지 않았고 도입된지 얼마 안되었기 때문입니다.

그럼 이 모든것을 사용자는 다 알고 있어야 하냐? 그것도 아닙니다.

사용자가 그래도 동작 원리는 알아야 하지 않을까 생각해서 알려드립니다.



DMR은 현재까지 2곳에서 각기 다르게 운영되고 있습니다. ( XLXDMR은 별도)

미국 모토롤라에서 개발, 운영하는 DMR+, 유럽에서 아마추어들이 만든 BRANDMEISTER가 있습니다.

그중 우리는 저렴하고 전세계적으로 접속이 용이한 BRANDMEISTER(BM)에 연결되어 있고

지난 9월 HL1RR님의 헌신적인 노력으로 DMR+가 만들어졌습니다.

그러면 4501 KR은 무엇일까?

유럽 BM서버에서 각나라별, 단체별, 지역별 리플렉터를 만들었는데 우리나라는 4501로 배정받게 되었던것 입니다.



그럼 왜 4501로 배정되었을까요? DMR ID운영위원회(?)에서 결정한 바에 의하면 아시아 지역코드는 '4', 대한민국 지역코드 '50'이기 때문입니다.

DMR ID 구성을 점검해볼까요. 글쓴이의 ID는 4500020, 4503001, 이렇게 2개 운영하고 있습니다.

공통적인 사실은 2개 ID 모두 450으로 시작한다는 것입니다. 이해???

그럼 4503001은 어떻게 구성되었을까요?

4(아시아지역) + 50(대한민국) + 3(광주전남전북제주) + 001(가입순서) 이렇게 구성되어 있습니다.

4501XXX - 대구경북경남부산, 4507XXX - 서울, 4506XXX - 경기도 ......



다시 본론으로 TG는 무엇인가요? 쉽게 설명하면 순수 대화방입니다. 우리가 많이 사용하는 TG450, TG45004 등



그럼 TS1, TS2는 무엇인가요? 아래 그림은 아날로그 방식(왼쪽)과 DMR TDMA방식을 설명한 그림입니다.





DMR은 시간을 쪼개서 사용하는 방식으로 오른쪽 그림에서 빨강색과 파랑색으로 나누어 신호를 전송함에 따라 TS1, TS2로 구별해서 사용할 수가 있습니다. 1개의 체널을 여러사람이 사용할 수 있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보통 DMR 리그설정은 로컬국은 TS2(TG9, TG450,TG4501~5, TG45021~5)에, 나머진 TS1(3101,5021,2041 등)에 저장해서 사용합니다. 조금 이해하셨나요?



그럼 우리가 사용하는 크로스모드 교신은 어떻게 이루어졌을까요?

앞서 말했듯이 크로스교신은 추가 비용없이 상호교신을 하는게 목적입니다.

지금 가지고 있는 디지털리그를 통해 또는 최소 비용으로 디지털교신을 구성한 이후 서로 상호 교신이 이루어지게 하는것입니다.



그 구심점은 DMR에 있었습니다. 우리가 이용중인 DMR서버에 각종 디지털 교신 방식을 접목하게 된 것입니다.

DMR과 C4FM은 대역폭이 12.5Khz로 접속하는데 애로 사항이 전혀 없었고 D-STAR는 6.25Khz를 사용함에 따라 약간의 음질 변화가 있습니다.

BM TG45004의 크로스 교신에 대해 알아볼까요?

TG45004는 리플렉터 4501내에 만들어진 대화방입니다. 그 번호가 45004입니다. 45001,45005,45021 등 전부 대화방입니다. 우리가 통상적으로 그렇게 부르는것입니다. 다르게 지정하면 다르게 불러집니다.





위 그림을 보시면 쉽게 이해 하실까요?

BMaster(진한파랑) - BM server

sMASTER(파랑) - 4501kr

Germany(노랑) - TG45001~5, TG45021~5 등

그리고 개별 이용자

TG45004 위치는 위 그림에서 어디 정도에 있는줄 아시겠죠?

'DV 이야기 > DMR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Alinco DJ-MD5TGP Dual Band DMR HT W/GPS  (0) 2018.10.21
MMDVM Duplex v1.2 Firmware.  (0) 2018.10.21
MD-398 DMR 무전기  (0) 2018.09.11
DMR+ SERVER INSTALL  (0) 2018.09.08
DMR+ MANUAL  (0) 2018.09.06

오늘은 MD-398 DMR 무전기에 대하여 이야기를 하려고 합니다.

MD-398 모델은 TS1 만 지원하는 UHF 무전기 입니다.

그러므로 HAM이 사용하기에는 부적합 합니다.

사양은 다음과 같습니다.

Frequency Range 400-470MHz
More frequency available 450-520/136-174/220-260/245-245.9875MHZ
More frequency available 1000
Working voltage 7.2v
Working temperature -30℃~+60℃
Storage temperature -40℃~+85℃
Continuous working time Analog:15hours    Digital:25hours
Battery capacity 2800Mah
Transmitter
Frequency Range 400-470MHz
Channel spacing 12.5KHZ
Frequency stability +/-1.5ppm
TX power Low:1W  High:10W
FM noise -40dB @ 12.5KHZ
Spurious emission <-36dB m @ 1GHZ,> -30dB m @ 1G
Adjacent channel selectivity -60dB @ 12.5KHZ
FM modulation mode 12.5KHZ:11 F 0 F 3 E
4FSK digital modulation mode 12.5KHZ(data only):7K60FX
12.5KHZ(data+voice):7K60FX
Modulation limit 2.5KHZ @ 12.5KHZ
Audio response +1dB~-3dB
Rated audio distortion ≤3%
Digital protocol ETSITS102361-1,-2,-3
Vocoder type AMBE+2TM
 Receiver
Frequency Range 400-470MHz
Channel spacking 12.5KHZ
Frequency stability +/-1.0ppm
Analog sensibility 0.35uV/-116dBm(20dB SINAD)
0.22 uV/-120dBm(Typical)
Digital sensibility 0.3 uV/-117.4dBm(BER 5%)
0.7 uV/-110dBm(BER 1%)
Spurious response TIA603C: 65dB
ETSI:  65dB
Adjacent channel selectivity TIA603C: 60dB @ 12.5KHZ
ETSI:  60dB @ 12.5KHZ
Spurious response suppression TIA603C: 70dB    ETSI: 70dB
Receiving spurious emissions <-57dBm @ 1GHZ,> -47dBm @
Blocking 84dB
Rated audio power 1W
Audio response +1dB~-3dB
Rated audio distortion ≤3%

출력이 HIGH 10W, LOW 1W 로 보통 DMR 무전기보다 출력이 높습니다.

단점으로는 TS1 만 지원하기 때문에 아마추어무선에서 사용하기는 부적합한 모델 입니다.

특히 DMR+ 에서는 TS1과 TS2를 사용하므로 이 무전기는 아마추어용으로는 조금 문제가 있습니다.

'DV 이야기 > DMR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MMDVM Duplex v1.2 Firmware.  (0) 2018.10.21
DMR 이해  (0) 2018.09.20
DMR+ SERVER INSTALL  (0) 2018.09.08
DMR+ MANUAL  (0) 2018.09.06
DMR 통신이란?  (0) 2018.09.01

KOREA DMR+ SERVER를 설치 운용하기 위하여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검토하였습니다.

특히 DMR+는 자료도 없고 아는사람도 없어 검토하는데 많이 힘들었습니다.

이렇게 힘든것을 꼭 해야 하는가하는 생각도 들때가 있었습니다.

그러나 좋은 품질 좋은 환경에서 DMR QSO를 위하여 힘들어도 DMR+ SERVER를 꼭 설치 해야 겠다고 생각 했습니다.

주위의 여러 OM님께서도 응원과 성원을 많이 보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처음에는 집에 있는 PC로 서버를 이용하여 DMR+ 를 설치 했습니다.

설치하고 테스트해보니 큰 문제점을 발견하지 못했습니다.

그러나 접속자가 늘어나니까 서버의 용량이 문제가 되어 지연현상이 발생 하였습니다.

이러면 이 서버는 사용할 수 없다고 판단되어 용량이 큰 서버로 교체하기로 결정했습니다.

다시 CPU, 메인 메모리, 전원부등 필요한 부품을 구입하여 용량이 큰 서버로 교체를 했습니다.

교체후 테스트를 해보니 지연현상이 없어 졌습니다.

지금은 서버의 용량이 커서 문제점을 발견하지 못했습니다.

현재는 아주 만족할 만한 성능을 발휘하고 있습니다.

 

KOREA에서 사용한 10개의 TG 들을 만들었습니다.

TG 450, TG571, TG572, TG573, TG574, TG575, TG576, TG577, TG578, TG579

 

그리고 KOREA 전용 DMR+ 리플렉터도 10개 확보하여 등록을 마쳤습니다.

4570 Korea All

4571 Korea HL1

4572 Korea HL2

4573 Korea HL3

4574 Korea HL4

4575 Korea HL5

4576 Korea HL0

4577 Korea 1004DMR

4578 Korea XLX171 D

4579 Korea Test/Chat

이젠 KOREA 도 전용 리플렉터가 생긴것 입니다.

 

한국에도 DMR+ 서버가 설치 되어 많은 사람들이 DMR+ 를 사용할것으로 기대 합니다.

DMR 서버가 한국에 IPSC2-KOREA, XLXDMR, BM 등 3개의 서버가 설치 운용중에 있습니다.

각각의 서버의 특징이 있고 통화 품질이 약간씩 차이가 있어 DMR 사용자는 선택해서 사용하면 됩니다.

또한 사용법도 차이가 있어 이것을 알고 사용하면 사용에 어려움이 없을것으로 생각 합니다.

'DV 이야기 > DMR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DMR 이해  (0) 2018.09.20
MD-398 DMR 무전기  (0) 2018.09.11
DMR+ MANUAL  (0) 2018.09.06
DMR 통신이란?  (0) 2018.09.01
XLXDMR 이야기  (0) 2018.08.31

한국에 DMR+ 서버가 설치 되었습니다.

서버 name 이 "IPSC2-KOREA" 입니다.

TG는 TG450 그리고 TG571 ~ TG579 까지 10개가 있습니다.

리플렉타는 4570 ~ 4579 까지 10개가 용도별로 지정 되어 있습니다.

여러 종류의 hotspot에서 DMR+ 서버이름을 "IPSC2-KOREA" 를 선택하면 됩니다.

2018년 9월 6일 현재 Bluedv for Windows 는 "IPSC2-KOREA" 가 보이지 않습니다.

조만간에 보일것으로 생각 합니다.

현재 사용중인 여러 종류의 hotspot 은 "IPSC2-KOREA" 가 보이므로 것을 선택하면 됩니다.

 

pi-star 사용자는 pi-star 화면에서  Configuration을 클릭합니다.

DMR Configuration 에서 DMR Master 를 "DMR+_IPSC2-KOREA"를 선택합니다.

DMR+ Network 란에 Options= 란에 다음을 추가 합니다.

 

StartRef=450;RelinkTime=360;TS2_1=571;TS2_2=572;TS2_3=573;TS2_4=574;TS1_4=2;TS1_3=13;TS1_2=130;

 

그런후 Apply Changes 를 클릭하여 적용 합니다.

 

openspot 사용자는 화면에서 "Connectors" 를 클릭 합니다.

그런후 "Connectors" 화면에서 Edit connector 에서 "Homebrew/MMDVM" 을 선택 합니다.

DMR/Homebrew/MMDVM 설정에서 Protocal 을 "MMDVM"을 선택 합니다.

Server 란에서  "IPSC2-KOREA(210.178.113.56)" 을 선택 합니다.

Server password 란에는 "PASSWORD"를 입력 합니다.

화면 아래 오른쪽에 보면 "Advanced mode"가 있습니다.

이것을 클릭합니다.

다음은 Raw options 란에 다음을 입력하고 "Save"를 클릭 합니다.

 

StartRef=450;RelinkTime=360;TS2_1=571;TS2_2=572;TS2_3=573;TS2_4=574;TS1_4=2;TS1_3=13;TS1_2=130;

 

 

DV4mini 사용자는 특별히 설정할 것이 없습니다.

Expert Settings 설정화면에서 DMR란에 있는 "IPSC"를 선택 합니다.

그리고 선택란에서 "SC:IPSC2-KOREA" 를 선택하면 됩니다.

 

DV Control 화면에서 "DV4mini Settiongs" 에서 "DMR+"를 선택합니다.

그리고 DV4mini는 리플렉터 방식이므로 한국 리플렉터 4570 ~ 4579 중에서 선택하여 연결하고 교신하면

됩니다.

hotspot 에서 Simplex Node 나 Duplex Repeater 모두 사용법은 동일 합니다.

간혹 Simplex Node는 되고 Duplex Repeater 는 안되는것으로 잘못 알고 있으나 그렇지 않습니다.

그리고 Jumbospot 또는 이것에 준하는 모든것이 잘 됩니다.

jumbospot MMDVM DUPLEX hotspot 도 아주 잘 됩니다.

pi-star 사용전에 사용했던 MMDVMHost 프로그램을 사용하는것도 아주 잘 됩니다.

hotspot 이 안되는것은 없습니다.

 

Bluedv for Windows 에서는 Version 1.0.0.9541 을 설치 합니다.

소프트웨어는 이곳에 있습니다. ==>http://software.pa7lim.nl/BlueDV/BETA/Windows/

화면에서 "Menu" 를 클릭합니다.

그러면 설정화면이 나옵니다.

설정화면에서 "DMR+" 항목에서 "Master"를 "IPSC2-KOREA"를 선택합니다.

Default Reflector 란에 4570 을 입력합니다.

설정을 다 했으면 화면 맨아래에 있는 "Save"를 클릭하여 저장합니다.

'DV 이야기 > DMR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DMR 이해  (0) 2018.09.20
MD-398 DMR 무전기  (0) 2018.09.11
DMR+ SERVER INSTALL  (0) 2018.09.08
DMR 통신이란?  (0) 2018.09.01
XLXDMR 이야기  (0) 2018.08.31

DMR 통신는 우리나라에 DV통신이 보급된 역사가 그리 오래지 않습니다.
그중에서도 DMR은 도입된 기간이 1~2년 정도 밖에 안됩니다.
물론 그보다 더 오래전부터 하신분도 계십니다.
그러나 본격적으로 많은 HAM 인구가 DMR을 사용하기 시작한것은 그리 오래지 않다는 이야기 입니다.

아마추어무선(HAM)에 있어 DV통신은 매력적 입니다.
거대한 안테나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고 특히 도심속에서도 안테나 없이 아마추어무선을 할수 있어 많은 장점이 있습니다.
그러나 기존 아마추어무선과 달리 DV 통신은 많은 노력과 노하우가 있어야 아무 문제없이 즐길수 있습니다.

저도 DV통신을 하고 있고 즐기고 있으나 처음에는 정보가 부족하여
좌절과 실망이 엄청 많았습니다.
그러니 오기와 끈기로 현재 여기까지 오게 되었습니다.

“DMR 통신 따라하기” 에서는 그동안 제가 경험한 정보와 최신정보를 제공 하려고 합니다.

여러분의 DMR 통신에 많은 정보가 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앞으로 진행할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1. DMR 무전기에 대한 이해와 선택
2. 코드플럭에 대한 이해와 따라하기
3. 여러종류의 핫스팟에 대한 이해와 선택
4. 라즈베리파이의 중요성
5. MMDVMHOST 프로그램의 이해
6. 소프트 업그래이드 방법
7. 펌웨어에 대한 이해와 따라하기

 

'DV 이야기 > DMR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DMR 이해  (0) 2018.09.20
MD-398 DMR 무전기  (0) 2018.09.11
DMR+ SERVER INSTALL  (0) 2018.09.08
DMR+ MANUAL  (0) 2018.09.06
XLXDMR 이야기  (0) 2018.08.31

XLXDMR Reflector에 대하여 작동원리를 설명하고자 한다.
XLXDMR 은 LX3JL OM 이 만든 소프트웨어로 전세계적으로 많이(거의 전부라고 할 수 있음) 사용하는 프로그램이다.

DMR 통신을 하기 위한 서버의 종류는
(1) BM서버
(2) DMR+ 서버(IPSC2)
(3) XLXDMR(Reflector)서버
이렇게 3개의 방식이 있습니다.

XLXDMR 소프트웨어는 내부적으로 DMR과 DSTAR가 같이 동작 하도록 설계된 프로그램이다.
다만 BM서버와는 DSTAR만 연결이 된다.
기본적으로 DSTAR 리플렉터에서 검증된 소프트웨어로서 안정적으로 DMR도 잘 동작하고 있다.
BM서버와 연결이 안되므로 BM서버를 이용하는 DMR과는 교신을 할 수가 없다.
DMR 무전기에 XLXDMR에 맞는 코드플럭을 해서 입력해야만 사용할수 있고 아직은 이용자가 많지는 않다.
주로 유럽지역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는 소프트웨어로서 국내에는 제가 운용하고 있는 XLX171 리플렉터가 최초이고 하나 밖에 없다.
XLX171 리플렉터는 동작방식이 다음과 같다.

XLXDMR서버의 장점은 하나의 서버로 DMR과 DSTAR를 같이 할 수 있다는 것이다.
DMR 통신은 TG가 4001 ~ 4026 까지 정해져 있고 다른 서버와 연결이 되어 있지 않아 동일 TG로 여러 사람이 동시에 교신을 할수 있는 장점이 있다.
많는 사람들이 검증하고 성능과 음질(품질)등 좋은 점이 많이 있으나 아직 사람들이 모르고 있어 사용자가 적은것 같다.
그러나 유럽지역에서는 XLX950 리플렉터를 통하여 많은 HAM 들이 DMR 교신을 하고 있고 XLXDMR서버가 많이 운용되고있다.
다른 DMR서버에 비하여 설치비용이 저렴하고 유지비용도 저럼한것이 XLXDMR 서버로 앞으로 많은 사람들이 운용 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 다른 장점으로는 DMR과 DSTAR간 크로스 교신이 된다는 점이다.
크로스 교신을 할 때 음질이 찌그러지는 현상이 발생하는데 이런 현상을 없애기 위하여 XLXDMR서버에 AMBE SERVER 를 연동하여 음질이 찌그러지는 것을 해소 한다.
de HL1RR 73 !!

'DV 이야기 > DMR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DMR 이해  (0) 2018.09.20
MD-398 DMR 무전기  (0) 2018.09.11
DMR+ SERVER INSTALL  (0) 2018.09.08
DMR+ MANUAL  (0) 2018.09.06
DMR 통신이란?  (0) 2018.09.01